과학논문 CHECK LIST
논문을 완성하여 학술지에 투고하기 전에 최종 점검용 check list로 그 동안 한 개 Section씩 따로 다루어온 논문 작성시 유의사항을 간추려 보았다. 투고 전에 아래 사항을 점검한다.
논문 제목은 최후에 작성
Technical Writing의 ABC는 Accuracy(정확성), Brevity(간결성), Clarity(명확성)이다.
이 원칙은 과학논문 제목에도 예외 없이 적용된다.
Electronic retrieval 을 위한 keyword 한 두 개를 포함해서 12개 단어 이내에서 논문이 강조하는 주요 내용을 정확하고 간결하고 명료하게 반영하는 제목이 이상적이라 하겠다.
"ACS Style Guide"는 아래 귀절을 과학논문 제목에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다. "연구" "조사" "보고"등을 제목에 넣는 것은 연구내용을 알리는데 도움이 안되니 Journal 의 공간 낭비라는 것이다.
금지된 귀절 : "on the", "A study of", "research on", "report on", "regarding", "use of", "rapid", "new", "Investigations on", "Observations on", "Studies on".
Newspaper headline의 첫 단어 앞에는 A, An, The 등의 부정관사나 정관사를 생략하듯이 과학논문 제목의 첫 단어 앞에 오는 부정관사나 정관사도 생략한다.
Title은 논문의 첫 머리에 위치하고 있지만 실제로 Title을 쓰는 시점은 논문을 다 완성한 다음이라야 한다.
Abstract는 논문의 구조적 축소판
Abstract도 역시 논문 제목이나 Introduction과 같이 실험과 연구가 오나료된 시점에 반드시 새로 다시 써야만 된다. Abstract는 전체 논문의 골격(skeletal form)을 축소한 논문의 축소판(mini-paper)이다. 논문의 뼈대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1)목적과 연구범위 (2)논문에서 활용하는 방법 (3)주요 결과의 요약과 그 의미 (4)결론의 요약과 그 의의로 형성된다. 그러니까 Abstract는 단순히 중요한 부분을 열겨한 highlights가 아니다. Abstract는 Main text의 구조적 축소판인 것이다.
[출처][화학세계 0406][110][영문 제대로 쓰기]
과학논문 Checklist - 유대식 [전 포항공대 교수]